[AWS] Amazon Elastic File System(EFS) 구성 및 인스턴스 연결 방법

2024. 7. 26. 11:51·Cloud
목차
  1. 1단계 (파일 시스템 설정)
  2. 2단계 (네트워크 액세스)
  3. 3단계 (파일 시스템 정책)
  4. 실습
  5. 참고문서
728x90

Amazon Elastic File System(Amazon EFS)은 완전히 탄력적인 서버리스 파일 스토리지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스토리지 용량과 성능을 프로비저닝하거나 관리하지 않고도 파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Amazon EFS는 애플리케이션을 중단하지 않고 페타바이트급까지 자동으로 확장되고 파일을 추가하고 제거할 때 자동으로 확장 및 축소됩니다.
그래서 EFS를 연결하면 리눅스에서 df -h를 입력하면 용량 단위가 E로 나온다.

 

내가 많이 즐겨찾는 블로그가 있는데 이분이 EFS에 대한 내용을 너무 잘 정리해둔곳이 있다. 이론도 잘적혀있다.
맨 아래 참고문서를 링크해두겠다. 난 메모 목적이여서 

 

1단계 (파일 시스템 설정)

  1. 이름
    • 이름은 선택사항이라서 딱히 지정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지정하지 않을 경우 AWS에서 정해둔 규칙에 의해 이름이 생성된다.
  2. 파일 시스템 유형
    • 리전: AWS에는 여러 가용 영역(리전)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us east-1, us east-2 에 EFS를 다른 리전에서도 연결이 가능한 유형이다.
    • One Zone: 하나의 가용 영역(리전)에서 사용하는 기능이다. 또한 그 리전에 문제가 발생하면 복구하기가 힘들지만 금액은 리전보다 저렴하다.
  3. 자동 백업
    • EFS에 있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백업하는 기능인데 활성화 하면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 정말 EFS자체가 박살나지 않는 한 사용할 일이 없지 않을까?
  4. 수명 주기 관리
    • Infrequent Access(IA): 마지막 엑세스 이후에 30일이 지나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IA로 넘기는 기능이다. 날짜는 본인이 알맞는다 생각하는 기간으로 지정하면 된다.
    • Archive로 전환: 마지막 엑세스(Standard 있던 시간 기준)가 90일이 지나면 Archive로 전환하여 IA보다 더 저렴하게 보관할 수 있다.
    • Standard로 전환: IA와 Archive에 있는 파일을 엑세스하면 다시 빠르게 엑세스할 수 있도록 가져오는건데 자신의 사용 용도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 이 설정을 없음 으로 한다면 IA나 Archive에 있는 파일을 엑세스할 때 단지 속도가 느릴 뿐이다.
  5. 암호화
    • KMS키: EFS에서 파일을 저장할 때 암호화 키를 지정할 수 있다. 만약 설정하지 않는다면 AWS가 자체로 키를 생성하여 적용하지만 만약 내가 직접 지정하고 싶다면 키를 생성해서 적용하면 된다.

 

AWS Document: https://docs.aws.amazon.com/ko_kr/efs/latest/ug/performance.html#performancemodes
  1. 처리량 모드
    • 개선됨(탄력적 처리량): 예측하기 어려운 워크로드 및 성능 요구 사항이 급증하거나 예측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는것을 권장한다. (처리량 기준)
    • 프로비저닝됨: 워크로드의 성능 요구 사항을 알고 있는 경우 사용한다. (성능 기준)
    • 버스트: 파일 시스템의 스토리지 용량에 따라 처리량이 확장되어야 하는 워크로드에는 버스팅 처리량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스토리지 양에 따른 처리량 기준)
  2. 추가 설정
    • 범용 모드: 지연 시간에 민감한 부분에서 사용한다.
    • 최대 I/O 모드: 높은 처리량과 병렬성으로 긴 지연 시간을 허용 할 수 있다면 사용한다.

 

2단계 (네트워크 액세스)

네트워크 액세스

  1. VPC
    • 여러 VPC를 사용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가상의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하나의 회사라고 보면된다. 그래서 난 디폴트로 설정했다.
  2. 탑재 대상
    • 가용 영역은 내 VPC 내 보안설정에서 어떤 가용영역을 사용하고 어떤 보안그룹을 적용 시킬지 선택한다.

3단계 (파일 시스템 정책)

  1. 정책 옵션
    • 왼쪽에 있는 정책들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오른쪽에 JSON에 코드로 들어간다. 왼쪽에 내가 원하는게 없다면 JSON 코드로 적용하면 된다! 난 추가 하지 않았다.

 

실습

실제로 생성하고 각 다른 리전에서 공유되는걸 영상으로 찍었다.

 

 

참고문서

  • EFS 이론을 너무너무잘 적어둔 곳 링크!
  • AWS EFS 파일 시스템 유형 및 스토리지 클래스에 대한 내용
728x90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고가용성과 확장성의 개요  (3) 2024.08.01
[AWS] EC2의 Compute Savings Plans 와 EC2 Instance Savings Plans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까?  (0) 2024.07.29
[AWS] EBS와 EFS의 차이점  (5) 2024.07.18
[AWS] EFS는 무엇인가요?  (0) 2024.07.18
[AWS] AMI(Amazone Machine Image)는 무엇인  (0) 2024.07.18
  1. 1단계 (파일 시스템 설정)
  2. 2단계 (네트워크 액세스)
  3. 3단계 (파일 시스템 정책)
  4. 실습
  5. 참고문서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WS] 고가용성과 확장성의 개요
  • [AWS] EC2의 Compute Savings Plans 와 EC2 Instance Savings Plans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까?
  • [AWS] EBS와 EFS의 차이점
  • [AWS] EFS는 무엇인가요?
정주원
정주원
개인블로그
Joon.eng개인블로그
  • 정주원
    Joon.eng
    정주원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77)
      • Linux (41)
      • Windows (0)
      • Network (4)
      • Database (0)
      • Cloud (23)
      • Docker (3)
      • Ansible (2)
      • Etc (4)
  • 블로그 메뉴

    • 링크

      • GITLAB(woni)
    • 공지사항

    • 인기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0
    정주원
    [AWS] Amazon Elastic File System(EFS) 구성 및 인스턴스 연결 방법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